韩国文学作品选读(下)总结

2020-03-03 11:16:44 来源:范文大全收藏下载本文

난장이가쏘아올린 작은공 – 조세희(중편소설)

1.주제 : 도시 빈민이 겪는 삶의 고통과 좌절(난쏘공:난장이로 대변되는 가난한 소외 계층과 공장 노동자의 삻의 모습, 그리고 1970년대 한국의 노동 환경을 폭로,고발하고 있다)

2.‘난장이’=없는자(힘없는식구:경제적인 능력과 사회적인 지위가 없음) vs 가진자3.인물: 영수/영호/영희:입주권을 되찾아오기 위해 승용차 안의 사나이를 따라 가게 된다./비행접시:다른 곳에서 온 사람들,승용차를 타고 입주권을 서러 온 사람들을 말한다./ 까만 쇠공: 난장이가 달나라로 쏘아 올리는 쇠공은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열망을 사징한 것이다./달나라꿈:인간답게 살고픈 욕망을 상징한다./결말 영희의 절규: 더 이상 난장이로 남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내 준다./난쏘공 상징적 의미: 난장이-신분적 열세,공-비상의 꿈을 상징한다.구조적 불평등에 시달리고 있는 하층민이 품은 낭만적 열망을 표출한 말이다.4.줄거리: 난쟁이인 아버지와(문맥적으로...음.사회적 배경으로 이해해야 됨) 그 가족이 시골에서 겪는 이야기이다.이 가족이 힘겹게 살고 있던 집에 어느날 뜬금없이 철판 하나가 붙게 되었다.그 곳에 공사를 할 테니 집에서 나가라는 것이었다.마을 사람들이 굳세게 반항하지만, 끝내 쫓겨나게 되고, 아버지는 생계를 잇기 위해 굴뚝 청소를 하시다가 떨어져 돌아가신다.

필론의 돼지 –이문열(단편소설 비유법-직유법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젊은 날의 초상)

1.주제:권력의 횡포(사회의 부정적인 현실 앞에서 무너지는 나약하고 비이성적인 군중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도 있다)와 지식인의 무기력한 대응(사회인의 갈등과 모순으로부터 회피하는 지식인에 대한 비판을 주제로).인간이 지닌 본원적 모습 탐구(인간의 저열함을 풍자)시대배경:발표된 시대적 상황이 광주민중항쟁운동이 발생하였던 1980년도임을 감안할 때 소수의 현역 군인들(‘검은 각반’)은 권력을 가진 기득권 층이며, 다수의 힘없는 제대 군인들은 일반 서민들을 대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장소:제대병들이 탄 객차 안 사건:’검은 각반’과 제대병들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홍’:왜곡된 권위를 내세우면서 제대병들의 돈을 갈취하는 ‘검은 각반들’앞에서, 치열하게 반항하는 주위 사람들과 달리 방관자적 태도를 보이며 소동의 와중에서 재빨리 몸을 피하는, 생물적인 본능에 충실한 인물이다.‘나’:친구인 ’홍’의 현실적인 태도를 경멸하는 자이다.그러나 모든 사태에 대하여 방관자로 남아 있어 인간의 위선과 모순을 드러낸다.갈등과 모순으로부터 회피하는 지식인의 한 전형이다.’필돼’:’홍’을 경멸하면서도 ‘홍’과 다를 바가 없는 주인공 ‘그’를 가리킨다.

인물:3.줄거리: (1) 발단 : 군대 생활을 싫는 ‘그’는 어쩔 수 없이 군용 열차를 이용하여 귀향하게 됩니다.뒷자리에 자리를 잡고 앉은 ‘그’는 훈련소 동기이자 일자무식(一字无识)인 홍동덕을 만나게 됩니다.(2) 전개 : 군용 열차가 출발한 후 얼마쯤 지나자 ‘검은 각반’들이 들어와 무력으로 현금을 징수합니다.제대병들은 불만이 있지만 아무런 반항도 하지 않습니다.백골섬 제대병이 무력으로 맞서며 저항하나, ‘검은 각반’의 유혹에 넘어가 다른 제대병을 배반한다.(3) 위기 : ‘그’와 홍동덕도 차례가 되어 돈을 냅니다.그 때 깡마른 제대병이 법적 논리로 저항하나,

‘검은 각반’들의 폭력에 의해 무참히 무너지고 만다.이런 상황에서 백골섬 제대병이 비참한 몰골로 돌아온다.(4) 절정 : 이후 제대병 한 명이 다른 제대병을 선동하고 일시에 제대병들은 ‘더 당할 수 없다’며 집단적으로 ‘검은 각반’들과 맞선다.이성을 잃은 제대병들은 ‘검은 각반’들을 구타하기 시작한다.(5) 결말 : ‘그’는 소동을 피해 다른 칸으로 이동하여 빈자리를 잡고 앉는다.그런데 먼저 소동을 피해 와 있던 홍동덕이 ‘그’에게 소주를 권한다.‘그’는 원인 모를 슬픔과 절망에 술을 마신다.졸음으로 가물거리는 홍동덕을 보고 있던 ‘그’는 ‘필론의 돼지’라는 일화를 생각한다.

우리들의 날개 – 전상국(성장소설-자기를 발견하고 정신적으로 성장해 나간다)

주제: 인간애를 통한 갈등의 극복과 화해.‘우리들의 날개’: 미신적 가치관에 의해 희생당한 두호와 그를 도와 운명을 함께 극복해 가려는 ‘나’의 의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소재상 특징: 환상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무속적 소재를 활요하였다.시점: 1인청 주인공 시점.문체상 특징: 의성의태어 활용2.

1)두호가 밖에 나가 죽었을 것이라는 엄마의 예감2)두호가 멀리 사라져 버리길 바라는 마음과 나타나 주길 바라는 마음 3) 버림받을까 두려워하는 마음과 형에 대한 의뢰심을 나타낸다.4) 차에 치인 사람이 크게 다쳐 입원을 하지 않고 죽어버린 것을 말한다.5) ‘새처럼 날아내리는 기분’: 모든 근심 걱정을 털어버리고 홀가분한 심정을 말한다.형제가 어린 마음에 드리워져 있던 검은 그림자를 떨쳐버렸기 때문이다.특히 형은 두호를 ‘사’가 아니라 동생으로 보호해야 함을 깨달았기 때문이다.3.줄거리: \'내\'가 초등학교 2학년 때, 손이 귀한 집안에 둘째 아들 두호가 태어나 모두 기뻐한다.하지만 군대에 간 아버지가 운전사고를 낸 뒤, 어머니는 용한 점쟁이를 찾아다니며 온갖 수단을 다해 액막이를 한다.액막이를 위해 목을 매어둔 고양이를 두호가풀어준 것으로 오해한 어머니가 두호를 잘못밀쳐 두호는 머리를 크게 다치고 아버지는 트럭으로 사람을 치고 사고를 낸다.아버지와 상극인 두호가 일찍 죽는다는 점쟁이의 말에 어머니는 비정상적으로 두호를 위한다.하지만 두호의 불장난으로 집이 다 타고, 아버지가 다시 인명 사고를 내자 \'나\'는 동생 두호에게 적의를 느낀다.나는 두호를 깜깜한 산속에 버리고 도망치지만 되돌아가 두호를 업고 내려오며서 꺽여버린 그의 날개가 되리라 다짐한다

숨은꽃 – 양귀자(1992년 이상문학상수상)

1.주제:인간의 삶의 본질적인 의의 ‘숨은 꽃’: 삶의 본질적인 의의를 말한다.세상의 어떤 제도나 권위에도 얽매이지 않고 생명의 본성에 충실한 김종구를 통해서 작가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문화니 이념이니에 앞서 구체적인 삶이 중요한다는 단순한 진실히다.다시 말하면, ‘숨은꽃’이란 인간의 원시적인 생명력으로서 문화니 니념이니 하는 것에 가려진 인간의 원시적인 생명력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2.‘급하게 산을 타는 사람을’: 산등성이를 따라 지나가다.산을 오르내리다.‘산 어귀의 사람 사는 마을에서 발을 빼내지 못하고 있는’: 세상일에 초연하지 못하다.세상일에 신경을 쓰게 된다.‘아직 부옇기는 하지만’: 아직 뚜렷하게 떠오르는 것이 없다.아직 확실한 것을 모르다.

3.소설이란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이다.지식인소설의 범주에 든다.지식인소설이란 지식인을 주인공으로 하여 지식인이란 어떠해야 하는가를 문제로 삼는 소설이다.

4.줄거리:『소설가인 나는 어느 날 3년 전 중단한 단편소설을 다시 쓰기로 결심한다.작가의 고백이나 기도 같은 것이 단편이라 생각했던 나는 번번이 마음속의 말 때문에 손을 멈춰 버리게 된다.나는 여행을 떠나기로 한다.도착한 곳은 귀신사(歸神寺).아무것도 없으면서 모든 것을 다 가지고 있는 텅 빈 적요를 찾아 떠난 나는 보수공사를 하느라 어수선해진 것을 보고 실망한다.그런데 그곳에서 섬마을 교사시절, 담임을 맡았던 숙자의 오빠 김종구를 만난다.숙자의 무단 결석으로 만난 첫 만남, 배 위에서 평화스럽게 잠자고 있던 그, 온통 안개로 자욱한 길잡이 잔치에서 혼신의 힘으로 징을 울려대던 모습 등이 떠오른다.귀신사를 망치지 않기 위해서 보수공사를 자청했다는 그.나는 김종구의 세상 사는 이야기, 그리고 그의 아내가 연주하는 단소가락, 그 소리를 듣고 눈물 흘리는 김종구를 본다.이튿날 나는 세상에 숨어사는 거인의 초상화 숨은꽃의 꽃말을 소설로 그려보기로 하고 그들을 떠나온다.』

아름다운 얼굴 – 송기원(중편소설, 자전소설*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성격 : 회고적, 반성적 *제재 : 삶의 여정과 성찰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주제:진정한 삶의아름다움에대한 인식 ‘중요한 것은’: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새롭게 시작했다는 것이다.‘누군가’ 지칭:소설 속의 후배인 ‘그’와 선배인 ‘나’이다.‘작고 날카로운 눈매의 사내’: ‘나’의 생부이다 ‘아름다운 얼굴’:소설 속의 ‘나’는 ’누군가를 미워하고 싶어도 미워할 수조차 없어서 괴로워하는 후배의 얼굴’에서 아름다운 얼굴을, 위선에 가려진 아름다룸이 아닌 참으로 아름다운 얼굴을 발견한다.즉, ‘나’도 아름답다는 것이다.위악에 가려지지 않은 아름다움을 발견한 것이다.위선과 위악에 가려지지 않은 얼굴이 참으로 아름다운 얼굴이라고 말한다.

줄거리: 나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앨범에는 내 사진이 없다.고등학교 입시에 실패하고 재수하는 동안 면도날로 오려냈기 때문이다.건달패이자 노름꾼인 아버지와 장돌뱅이 어머니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난 나는 어린 시절 굶주림에 대한 동물적인 공포감, 피투성이가 되어서야 끝나는 사생결단의 부부싸움 속에서 자랐으나 고등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자신의 출신에 대한 부끄러움이 없었다.잡초처럼 자랐지만 장터 특유의 낙천적인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커왔던 것이다.장돌뱅이 출신으로 처음으로 도청 소재지의 고등학교에 들어간 나는 자신의 비천한 신분을 깨닫고 1년도 못되어 집으로 돌아온다.건달패의 폭력사건에 휘말리게 되어 친척집에 은신하면서 처음으로 세상에 대한 무기로 문학을 알게 되고, 복학하여 백일장을 휩쓸었다.대학시절에는 세상에 대한 무기로 위악을 배운다.\'김대중내란음모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살이를 하는 동안 어머니가 자살하고 만다.나는 어머니와 처자식의 뒤를 봐준 문단 선후배의 권유로 출판사에 들어가 10년을 보낸다.그리고 문학에 대한 감동보다는 상품성을 먼저 따지는 출판 경영인의 마음을 갖게 된 나는 또 다시 자기혐오에 빠져 그곳에서 빠져나온다.

새순 – 이외수 새순:군중들의 가슴밭에 손가락 만한 크기로 살며시 얼굴을 내민 양심을 가리킨다 ‘이런 도시’: 서민들이 추앙하는 정의도 이미 오래 전에 죽었고 서민들이 숭배하는 양심도 이미 오래 전에 죽은 도시 ‘아이의 밥줄’: 아이의 먹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인 신문 뭉치.‘질이 좋지 않은 부류’: 나쁜 부류의 인간 ‘저게’: 청년의 머리 위 하늘을 가리키는데, 인간으로서 두려워해야 하고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을 말한다.‘얼굴에 설탕물처럼 발라져 있었다’: 표가 나게 얼굴에 드러나 있었다.언제,어디에서:퇴근무렵 종로의 번화가 지하도 입구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택시 정류장에서 일어난 사건이다.주인공: 신문 파는 소년, 인상이 험악해 보이는 청년, 두루마기 처럼의 노인이면서 그들 사이에 벌어지는 일을 지켜보는 근중들이다.

사건(줄거리): 인상이 험악해 보이는 청년이 신문 파는 소년을 때리는 장면을 보면서도 군중들이 침묵을 지킨다.이때 두루마기 차림의 노인이 나서서 청년을 타이르다가 말을 듣지 않으니 꾀를 써서 지팡이로 청년의 골통을 때리고는 사라진다.청년은 혼미해 쓰러지고 죽은듯 쓰러져 정신을 차리고 일어나서 아무나 멱살을 잡고 노인이 사라진 방향을 대라고 한다.군중들은 누구나 겁에 질린 표정을 감출 수가 없었지만 노인이 사라진 방향을 가리킬 때는 모두들 약속이나 한 듯이 손가락으로 정반대 방향을 가리키고 있었다.

‘자연환경 묘사’: 여름이었다.바람 한 점 없었다.하늘이 매연으로 희뿌옇게 흐려 있었다.기관지염에 걸린 해가 핼쑥해진 얼굴로 빌딩 모서리에 이마를 기댄 채 빈혈을 앓고 있었다.- 이러한 자연환경 묘사는 정의도 양심도 이미 오래 전에 사라진 현실에 대한 표현이면서 앞으로 벌어질 사건의 성질에 대한 암시이기도 하다.

‘소설의 갈래’: 장편(掌編)소설에 속한다.퇴근시간에 발생한 아주 작은 아야기를 뛰어난 기교, 재치, 해학으로 함축성 있게 표현하였다.

행복 –박세현주제:꿈꾸지 않는 자의 행복

오늘 뉴스를 말씀 디리겠습니다오늘 뉴스는 없습니다우리나라 국영방송의 초창기 일화다나는 그 시대에 감히행복이란 말을 적어넣는다

뉴스는 사람들은 불안하게 하고 오늘날 사람을 속상하게 하는 뉴스가 너무 많다.뉴스가 없는 세상을 행복한 세상이라고 했다.불행하고 끔찍한 일들이 없는 세상을 행복한 세상이라고 했다.

이름: 시단에는 이미 박남철이라는 이름을 가진 시인이 있었다.

너에게 묻는다 –안도현

주제-삶의 가치에 대한 인식& 타인에게 베푸는 사랑, 따뜻한 사람이 되어 헌신적인 삶을 살자는 것

시의 특징-일상적 소재로 삶의 깨달음을 전하고 있고 명령문과 의문문을 통해 독자의 삶을 반성하게 한다.어조:단호하고 준엄함 압축적.갈래: 자유시, 서정시

연탄재(-제재:이타적인 존재) 함부로 발로 차지마라(이타적인 존재에 대한 심정적 연대감,존경함)

너(이기적인 존재)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따뜻한 인간애를 가진 사람)이었느냐(강조를 통해 이기적인 존재에 대한 질책을 하고 있다)

흔들리며 피는 꽃 –도종현갈래 : 자유시.서정시 ,율격 : 내재율, 제재 : 꽃

주제 : 시련과 역경 속에 완성되는 사랑과 삶(사랑에는 우여곡절이 이기 마련이고 역경을 이겨낸 삶은 아름답다.좌절이나 시련을 겪으면서 인간은 성장하게 되고 경험을 얻게 된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냐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다 흔들리며넛 피었나이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다 젖으며 피었나니바람과 비에 젖으며 꽃잎 따뜻하게 피었나니젖지 않고 가는 삶이 어디 있으랴

그 강에 가고 싶다 – 김용택‘그강’:바쁜 일상에 여유로움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마음의 안식처이다.

주제: 그 무엇에 흔들림 없이, 세속의 일로 애타게 기다리거나 그리워하며 마음 상해 할 일 없이 자족적이며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는 것이다.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이나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여유있게 삽시다.

눈물은 왜 짠가 (산문시)– 함민복

내재율은 아들과 어머니와 설렁탕집 주인 아저씨의 연대감으로 드러난다.

가난한 생활 국물 거짓말을 하여 더 받은 국물을 몰래 아들에게 부어준다 서로 배려의 마음

타는 목마름으로 – 김지하 (의인법과 역설적인 표현,주제:민주주의 실현에의 강한 열망과 기다림)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황지우 (개인의 의지와 그걸 짓밟는 현실을 벗어나 멀리 떠나 버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어쩔 수 없는 암울한 현실을 인식하고 좌절감에 주저않고 만다)

하늘 – 박노해_박기평.’노동해방’이 이루어진 세상을 꿈꾸었기 때문이다.

(‘나’ –‘대대로 바닥으로만 살아온 힘없는’ 존재,’하늘’- ‘짓누르는 먹그름 하늘이 아닌/ 서로를 받쳐 주는’/’서로가 서로에게 푸른 하늘이 되는/그런 세상’, 상생이 아닌 상극의 관계, 현실의 어둡고 무서운 권력들을 고발하면서 소망하는 세게를 말한다)

프란츠 카프가 – 오규원 (지극히 담담한 시인의 어조 속에는 예술과 인문사회 과학이 경시되는 현실을 풍자하려는 문명 비판적 태도가 담겨 있다.비판하는 것:문학,예술과 같은 고귀한 가치와 귄위를 가진 것들이 더 이상 현실적인 지위를 자니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하고 현대사회 물질 만능주의의 비판.)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 장정일현대인의 가벼운 만남과 쉬운 이별에 대한 풍자

文学作品选读辅导资料

中国古代文学作品选读

外国文学作品选读

A外国文学作品选读试题

中国历代文学作品选读试题库

中国古代文学作品选读自检自测题

《中外文学作品选读》论文考核题目

级俄罗斯文学作品选读教学大纲改

0238外国文学作品选读答案版

古代文学作品选读 《蒹葭》读后感

《韩国文学作品选读(下)总结.doc》
韩国文学作品选读(下)总结
将本文的Word文档下载到电脑,方便收藏和打印
推荐度:
点击下载文档
下载全文